-
[TWBX] 대학(원)생을 위한 TWBX Day 4대외활동 및 교육/TWBX 2022. 1. 7. 19:04
3차 과제는 태블로의 기본 차트 중 구간 차원을 활용한 히스토그램 만들기, 누적 막대 차트, 파이 차트 중
1개 이상을 제작해보는 과제였습니다!
데이터 원본 3가지를 제공해주셨고,
이 중 저는 손흥민 선수의 골 관련 데이터를 사용해 대시보드를 제작해봤습니다 😊
손흥민 선수 골 데이터로 만든 대시보드 완성된 대시보드를 먼저 보여드리자면 이렇습니다.
그럼 차트 하나씩 살펴볼까요?
Num of goals 첫 번째 차트는 손흥민 선수가 넣은 골의 수를 연도별로 나타낸 막대 차트입니다.
연도별로, 또 경기 별로 골을 몇 개 넣었는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
경기 별로 다른 색을 적용했고, 골의 수를 레이블로 넣어 바로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.
뿐만 아니라 간트 차트를 이중축으로 넣어 연도별 총 골의 개수를 막대 끝에 표기해
해당 연도에 손흥민 선수가 총 몇 개의 골을 넣었는지 한 눈에 볼 수 있게 했습니다.
차트를 보니 손흥민 선수가 2017년에 가장 많은 골을 넣었고, 프리미어 리그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었네요!
Type of Goals 두 번째 차트는 손흥민 선수가 어떤 골을 넣었는지를 트리맵으로 나타낸 차트입니다.
트리맵의 장점은 비율을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점인데요,
트리맵의 장점을 살려 Type of Goal 레이블 밑에 테이블 계산을 이용해 구성 비율을 텍스트로 넣어
해당 골이 전체 골 중 얼마나 차지하는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.
차트를 보니 손흥민 선수는 오른 발로 골을 넣은 횟수가 44.83%로 가장 많고,
왼 발로 골을 넣은 횟수가 37.07%로 두 번째로 많네요!
하지만 오른 발로 넣은 골의 비율과 왼 발로 넣은 골의 비율이 많이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죠?
이 점이 바로 손흥민 선수를 최고의 선수로 만들어주는 요소인 것 같아요!
Position 마지막 차트는 손흥민 선수가 골을 넣을 때 어떤 포지션이었는지 보여주는 도넛 차트입니다.
도넛 차트도 트리맵과 마찬가지로 비율을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따라서 도넛 차트에도 포지션 레이블 밑에 테이블 계산을 이용해 구성 비율을 텍스트로 넣어
해당 포지션이 전체 포지션 중 얼마나 차지하는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.
차트를 보면 LW라는 포지션에서 골을 가장 많이 넣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
LW 포지션은 윙어라는 포지션으로 보통 미드필더로 구분된다고 해요!
LW 포지션이라는 말이 생소했는데,
미드필더라고 하니 왜 손흥민 선수가 LW의 비율이 가장 많았는지 바로 이해가 되더라구요 😆
그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 포지션은 CF, 즉 중앙 공격수네요!
중앙 공격수의 기본적인 역할이 득점이라고 하니, CF의 비율이 많은 이유도 바로 아시겠죠?
이렇게 손흥민 선수에 대한 데이터로 대시보드를 제작해봤는데요!
세 가지 차트를 만들고, 하나의 대시보드로 엮는 작업까지!
아주 흥미로운 시간이었습니다 😊
이번 과제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https://public.tableau.com/app/profile/annalody/viz/TWBXDay4AboutSonHeung-min/sheet3
[TWBX Day 4] About Son Heung-min
[TWBX Day 4] About Son Heung-min
public.tableau.com
그럼 내일도 새로운 포스팅으로 돌아올게요!
'대외활동 및 교육 > TWB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WBX] 대학(원)생을 위한 TWBX Day 7 (0) 2022.01.13 [TWBX] 대학(원)생을 위한 TWBX Day 6 (0) 2022.01.11 [TWBX] 대학(원)생을 위한 TWBX Day 3 (0) 2022.01.06 [TWBX] 대학(원)생을 위한 TWBX Day 2 (0) 2022.01.05 [TWBX] 대학(원)생을 위한 TWBX Day 1 (0) 2022.01.04